블로그 이미지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Choi PM 입니다. 본 블로그는 제가 정신줄 놓기 전에 제약 PM업무와 관련한 정보와 노하우를 기록해 보고자 만든 공간입니다. 블로그를 통해 제약업계의 여~러분과 좋은 인연되길 바랍니다.^^ flanaria@naver.com Since2007/10/14 Choi PM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5)
Private (10)
KNOW_HOW (37)
MUST_KNOW (79)
그냥 아이디어 (13)
나이가 들면서 알게 되는 것들... (9)
지식창고(펌글모음) (417)
주요업무양식 (5)
주요 학회일정 (27)
경쟁사 동향 (37)
Total
Today
Yesterday

 
 [2008년 12월 5일 금요일]   
 
 
 
역사에서 배우는 지혜로운 경제노트 가족들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8.12.05)

20세기에 규제 개혁과 금융기관 개혁이 상당부분 이뤄지긴 했지만 아직 금융위기를 완전하게 막지는 못했다. 20세기에도 15차례나 주식시장 붕괴가 일어났다.
지난 25년 동안에도 심각한 금융시장 불안은 일어났다. 주식시장(1987,2001), 통화(1994년의 멕시코, 1997년의 아시아), 국가 부채(1998년의 러시아), 그 외 여러 금융기관(1984년에 있었던 콘티넨탈 일리노이 내셔널뱅크의 파산, 1987~1989년에 빈발했던 저축은행과 대출은행의 파산, 1998년 롱텀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파산)이 금융시장 불안을 가져왔다.
(293p)

로버트 F. 브루너 외 지음, 하윤숙 옮김, 이상건 해제 'Panic 패닉 - 1907년 금융공황의 통찰' 중에서 (황금부엉이)

 

 

 

우리는 ‘역사’를 읽습니다. 시대의 사건 속으로 빠져 들어가, 인물들의 행동에 감탄하기도 하고 아쉬움의 한 숨을 내쉬기도 합니다. 역사와 ‘대화’하며 우리는 지식과 지혜를 얻습니다. 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할 대책을 떠올리고 불확실해 보이는 미래를 전망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지혜로운 이들은 역사와 함께 살아갑니다.

세계적인 불황이 깊어져만 가고 있습니다. IMF는 2009년에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이 일제히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지요.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표현한대로 우리는 지금 생애(lifetime) 처음 겪어볼 심각한 위기 앞에 위태롭게 서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 주위로 ‘디플레이션’이라는 으시시한 유령까지 떠돌고 있지요.

모두들 불안해하고 있지만, 그러나 경제위기는 ‘계속’ 있어왔습니다. 이번이 처음은 아니지요. 역사는 우리에게 그렇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지금의 우리와는 멀게만 느껴지는 1907년. 그 당시에도 ‘공황’이 찾아왔습니다. 공황 직전 모든 것은 아름다워보였습니다. 얼마 전 까지 우리가 경험했던 것처럼, 당시에도 ‘잔치’가 계속됐습니다. 미국경제는 젊었고 활력이 넘쳤지요. 1890년대 중반~1906년 미국경제는 평균 7%가 넘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를 강타한 대규모 지진과 화재를 시작으로 당시로서는 최악의 공황이 엄습했습니다. 1907년의 금융위기로 미국의 상장 주식 가치가 40% 가까이 폭락했고, 은행 25곳과 신탁회사 17곳이 파산했습니다. 그리고 1908년의 혹독한 불황으로 이어졌습니다.

1907년의 공황에는 니커보커라는 신탁회사가 등장합니다. 1907년 10월 22일 화요일 오전 9시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 문을 열기도 전에 이미 100여 명의 사람들이 그 회사의 거대한 청동 문 앞에 줄을 서기 시작했습니다.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진 것입니다. '1907년 패닉(Panic of 1907)'의 시작이었습니다.

1907년 패닉에는 냉정함과 통찰력을 잃지 않은 몇몇 금융가와 관료도 나옵니다. 그 시대의 리더들이지요. 그 중심에는 노령의 한 금융가, JP모건의 창립자 존 피어폰트 모건(Morgan)이 있었습니다. 그는 다른 유력 금융가들을 모아 위기에 빠진 아메리카 신탁회사를 비롯한 다른 금융기관들을 지원하도록 설득했습니다. 중앙은행이나 감독기관이 없던 시절에 자기 회사의 자본을 부실 금융기관 지원에 투입했습니다. 돈을 인출하려는 군중 앞에 서서 내가 책임질 테니 기다려 달라고 이야기하기도 했지요. 금융 위기는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모건은 '전설'이 됐습니다.

2008년에 우리를 덮친 글로벌 경제위기도 시간이 지나면 결국 ‘해소’될 것입니다. 이 시대를 살아간 우리에게는 힘든 경험, 생각하기 싫은 기억을 남기겠지만, 이 역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결국 ‘글’로 남을 것입니다. 우리 후손들은 그 역사책을 읽으며 우리들로부터 교훈을 얻으려 하겠지요.
 

Posted by Choi PM
, |

승자의 저주와 마천루의 저주, 그리고 리먼브러더스발(發) 패닉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8.9.16)

중국발(發) '마천루의 저주'가 시작되는가. 지난달 말 중국 상하이에서 '팍스 차이나'의 상징인 492m짜리 세계금융센터(WFC) 빌딩이 완공됐지만, 글로벌 금융가에선 이를 축하하는 분위기만은 아니다.

하늘로 치솟는 초고층 빌딩이 완공되면 그 나라 경제는 바닥을 친다는 '마천루의 저주'가 이번에도 들어맞을지 모른다는 분석 때문이다.

'마천루 의 저주' 중에서 (조선일보, 2008.9.16)




'승자의 저주'라는 표현이 있지요. 얼마전 대형 M&A(인수합병)에 성공했었던 몇몇 기업들이 '자금난'을 겪는다는 얘기가 돌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졌을 때 회자됐던 단어입니다.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해 '승자'가 됐지만, 실제로는 '손해'를 보게 된 상황. 입찰이나 M&A 등에서 실제가치보다 과도하게 높은 가격을 써내고 경쟁에서 이긴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상처뿐인 영광'이라고나 할까요. 잘못하면 '치명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저주'라는 단어가 들어간 표현에 '마천루의 저주'도 있습니다.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이 완공되면 그 나라 경제는 바닥을 친다는 내용입니다. 도이치방크의 분석가 앤드루 로렌스가 과거 100년간 사례를 분석해 1999년 주장한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1930년과 1931년 뉴욕에 크라이슬러빌딩과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이 세워질 무렵 경제 대공황이 미국을 엄습했습니다. 또 1970년대 중반 뉴욕의 세계무역센터(WTC), 시카고의 시어스타워가 완공되자 오일쇼크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이 찾아왔습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페트로나스타워가 1998년 완공되었을 때 말레이시아는 외환위기로 휘청했었지요. 최근에는 지난달 말 중국 상하이에 완공된 세계금융센터(WFC) 빌딩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492m로 세계 2번째 빌딩이 되었지만, 요즘 중국경제가 흔들거리면서 다시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는 것입니다.

'마천루의 저주'는 '나름의 논리'를 갖추고 있습니다.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 초대형 빌딩건설은 대개 통화정책이 완화되는 시기에 '시작'됩니다. 시중에 돈이 풍부해지면서 이곳 저곳에 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경기는 과열됩니다. 몇년이 흘러 초고층빌딩이 완공될 때쯤 되면 이 경기과열은 정점을 맞고 버블이 붕괴되면서 심각한 경제불황이 찾아온다는 주장입니다.

사실 '마천루의 저주'는 '사후 해석'이라고 볼 수 있지요. 그 논리가 맞는 케이스들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이론은 아니니까요.

추석연휴 기간 터진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신청 후폭풍으로 오늘 국내외 경제가 하루종일 어수선했습니다.
'마천루의 저주'나 '승자의 저주'에서처럼, 미래가 장밋빛으로 보인다고 '무모한 베팅'을 해서는 안되듯이, 요즘처럼 미래가 암울해보이더라도 '희망'을 잃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Posted by Choi PM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