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 Choi PM 입니다. 본 블로그는 제가 정신줄 놓기 전에 제약 PM업무와 관련한 정보와 노하우를 기록해 보고자 만든 공간입니다. 블로그를 통해 제약업계의 여~러분과 좋은 인연되길 바랍니다.^^ flanaria@naver.com Since2007/10/14 Choi PM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35)
Private (10)
KNOW_HOW (37)
MUST_KNOW (79)
그냥 아이디어 (13)
나이가 들면서 알게 되는 것들... (9)
지식창고(펌글모음) (417)
주요업무양식 (5)
주요 학회일정 (27)
경쟁사 동향 (37)
Total
Today
Yesterday

<위 그림은 2015년  메이저리그의 연봉 순위에 관한 연합뉴스 기사의 인포그래픽입니다.>

 

 

 

 

 

오늘은 야구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최근 야구에 관심이 좀 생겨서 이런 저런 기사들을 읽고 있는데요.

아직 꼬꼬마 수준이긴 하지만 기사나 칼럼 읽으면서 새로운 용어도 하나씩 배우고, 나름 재미가 쏠쏠하네요.

 

소개드리려고 하는 이야기는 바로 MLB(Major League Baseball)의 "연봉 조정 심판 제도"입니다.

1972년 MLB의 선수 노조위원장이었던 마빈 밀러에 의해 도입된 이 제도는 MLB 3년차 이상 6년차 미만의 선수들에게 적용되는 제도인데요, 구단이 제시한 연봉에 불만이 있을 경우 연봉 조정을 신청하면 제 3자인 연봉 조정 위원회가 중재를 하는 시스템입니다. 구단이 보통 6대 4 정도로 이기는 비율이 높았다는데,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 협의 과정에서 연봉 계약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도 연봉 조정 제도가 있는데요, 2002년의 유지현 선수를 제외하고는 2015년 현재까지 선수 측이 연봉 조정 심판에서 이긴 사례가 한건도 없다고 하네요. 2010년 타격 7관왕을 했던 롯데의 이대호 선수조차도 구단 측에 패했다고 할 정도니깐 좀 지나치게 선수 측에 불리한 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 그런가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왜 미국은 선수 승률이 비교적 높고, 한국은 구단 승률이 압도적일까? 왜 미국은 최근 들어 조정 심판 전에 연봉 계약이 이뤄질까? 그 답은 바로 시스템의 차이에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죠.

한 구단은 5억원의 연봉을 제시했고 선수는 10억원의 연봉을 제시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럴 경우 우리 나라에서는 조정 제도를 통해 7억 5천만원을 중심으로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결정이 되는 게 일반적이겠죠.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대부분의 분들께서도 그렇게 될 거라고 짐작하시겠죠?^^

 

하지만 MLB의 시스템은 우리나라와 아주 약간 달랐습니다. 양측의 연봉액 중간 어디쯤에서 결정하는 게 아니라 양측의 제시액 중 하나의 결론을 선택해서 계약을 강제하는 형태인 거죠. 다시 말하자면 구단의 주장을 받아들여 5억원에 계약을 하거나, 선수의 주장을 받아들여 10억원에 계약을 해야하는 겁니다.

 

사실 별거 아닌 차이같은데 왜 이런 큰 차이가 발생했을까요?

생각해보니 그것은 바로 양측의 태도 차이였습니다. 한국의 경우처럼 중간에서 연봉액을 결정하게 된다면 구단측은 최대한 낮게, 선수측은 최대한 높게 부르는게 유리하죠. 당연히 연봉 협상은 난항을 겪게 될 겁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처럼 둘 중의 어느 한 입장만을 채택해 버리면 구단측은 너무 낮게 불렀다가 선수의 주장대로 되버릴까봐 선수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고, 선수 역시 구단과 마찬가지로 너무 높게 부르는 것을 참을 수 밖에 없게 되죠.

 

저는 이것을 "전지전능한 제 3자의 존재를 부정하고 상대방을 배려해야만 이기는 게임의 룰"이라고 부를까 합니다.

마케팅에 어떻게 적용할지 생각 중입니다.^^

좋은 아이디어 있으신 분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Choi PM
, |
박찬호 선수나 연기자 김명민 씨나 참 대단한 사람들입니다.
물론 돈을 많이 벌기도 했고, 자신의 분야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한 탓도 있지만 제가 지적하고자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자신의 커다란 부분을 희생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될 만큼 강한 의지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야가 되었든 간에 자신의 영역에서 최고로 인정받는다는 것, 일가를 이룬다는 것은 분명 무언가를 희생했기 때문이죠.
나는 PM으로서 무엇을 희생하고 있는지 곰곰히 생각해 봅니다.
으으음....
많은 걸 희생했다고 생각해 왔지만 별로 대단한 건 아니네요.
그래서 별로 유명해지지 못한 거겠죠?^^;
 나약해지지 않는 한결같음... 무척이나 무겁게 느껴지는 단어들입니다...


사실 어느 분야든 특출난 사람은 다른 이들과 같지 않다. 우리가 흔히 쉽게 돈 번다고 생각하는 직업인들. '얼굴 하나 예쁜 걸로 오래도 가네?', '운동 하나 잘해서 그 연봉을 받나?' 하고 쉽게들 이야기한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을 악보 안 보고 칠 수 있는 이는 전 세계에 수만 명이 있어도 1등은 따로 있다. 음이 틀려서 1등을 못하는 것이 아니다. 음은 다 맞게 쳤는데도 그 안에 혼이 들어 있지 않으면 사람들의 눈과 귀가 알아차린다. (69p)
 
 
이종선 지음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든 사람들의 비밀' 중에서 (갤리온)
 
그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책상에 앉아 수첩을 꺼냈습니다. 매일 밤 그렇게 수첩에 적어 놓은 글귀 두개를 읽으며 자신을 다잡았습니다. 최근 'MBC스페셜'에 나온 박찬호 선수의 모습입니다.
 
굴곡이 많았습니다. 20대 초반에 메이저 리그에 진출했던 그가 벌써 30대 후반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그는 IMF 때 시원한 승전보로 국민들에게 잠시나마 위안을 주었고, 6500만 달러라는 거액을 받고 텍사스와 계약을 했습니다.
하지만 텍사스에서는 철저히 무너졌습니다. 결국 샌디에이고, 뉴욕메츠, 휴스턴 등을 전전하며 "마이너리그에서도 통하지 않는다"는 말까지 들어야했습니다. '먹튀의 대명사'라는 비아냥이 여기저기서 들려온 것도 그 때입니다.
 
박찬호는 2008년 LA다저스로 돌아왔습니다. 비록 예전처럼 위력적인 선발투수는 아니지만, 다시 일어선 겁니다.
그의 일상을 담은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마이너리그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 쓸쓸히 글러브와 옷가지를 챙겨 버스에 올라탔을 그의 모습이 머리 속에 그려졌습니다. 그런 상황이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야구를 아예 포기했을 겁니다. 이미 서울에 '박찬호 빌딩'도 지었고, 큰 돈을 벌어놓은 그였습니다. 하지만 박찬호 선수는 원정경기를 위한 가방에 불교책과 기독교책 2권을 넣어 가지고 다니면서 재기를 위해 자신과 싸웠습니다.
 
그런 최악의 상황에서도 편안한 곳으로 숨어들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 그이니까, 그런 그이니까 '최고의 투수'로 우뚝 설 수 있었던 것일 겁니다. 제 눈에는 '전성기의 청년 박찬호'보다 '지금의 그'가 더 멋있게 보입니다.
 
이미지 관리 전문가인 저자 이종선 대표는 배우 김명민에게서 '나약해지지 않는 한결같음'을 보았다고 했습니다. '진정한 자존심'을 보았다고 했습니다.
'이순신'으로 이름을 알린 김명민은 데뷰 초기 3년 동안 거의 매일 PD와 작가를 찾아가 인사를 하며 자신을 알렸다고 합니다. 다른 배우들은 자존심 상한다면서 2주를 못넘기고 포기하는데, 그는 3년 동안 매일 인사를 했고, 그래서 동기 중 단역을 가장 많이 했습니다. 그랬기에 그에게 '이순신'이라는 기회가 찾아온 것일 겁니다.
 
'베토벤 바이러스'에서는 마지막 장면 하나를 위해 일곱 시간을 지휘했고, 최근에는 루게릭병 환자를 연기하기 위해 필사의 감량을 했습니다. 저자는 "그런 그가 '드라마 하나 잘 만나서 뜬 배우'일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남에 대해 쉽게 말을 하곤 합니다. "공 하나 잘 던지면서 엄청난 연봉을 받는다...", "얼굴 하나 잘생긴 것 빼면 뭐 있나", " '먹튀' 아니냐..."
 
그러나 그렇게 쉽게 이야기하는 이는  그 사람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결코 자신이 깎아내리고 있는 사람처럼 '최고'가 될 수 없습니다

Posted by Choi PM
, |

입사한지 10년이 지나면 세배의 연봉, 20년이 지나면 다섯배의 연봉...
언뜻 별 것 아닌 듯 하면서도 곰곰히 생각해보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저도 곧 10년이 되는데 세배의 연봉은 커녕...ㅡㅡ; 에효...
여러분은 어떠십니까?^^

직원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복지는 '교육'이다
“입사한 지 10년이 지나면 연봉을 세 배는 받을 수 있어야 하고,
20년이 지나면 신입 직원과 다섯 배 정도의 격차가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그 정도 연봉을 받으려면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소위 실력 말이다.
단언하면 '기능에서는 다섯 배', '의식에서는 백 배'까지 차이가 나야 한다.
그 정도로 비약적 성장이 가능한 교육과 자기계발 붐이 일어나야,
조직은 생기를 잃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교육이야말로 직원을 위해 해줄 수 있는 최고의 복리후생제도이다.”
일본전산이야기로 유명한 나가모리 시게노부 사장의 말입니다.

그렇습니다. 모든 리더들은 직원들의 몸값을 올려주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육을 통해 직원들이 성장하고 더 좋은 결과를 내면
좋은 평가로 이어지고, 승진으로 이어집니다.
또 회사는 그렇게 성장한 직원들의 역량에 의해 한층 더 발전하고,
결과적으로 직원들에게 더 좋은 대우를 해줄 수 있게 됩니다.
 

Posted by Choi PM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